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Survey of Monosyllabic and Bisyllabic Words Lists Used in Training Hospitals in Korea:The Origins and Variation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Speech perception and produciton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6;10(1):16-19.
A Survey of Monosyllabic and Bisyllabic Words Lists Used in Training Hospitals in Korea:The Origins and Variations
Sung Wan Byun, Yoo Jin Shim, So Young Pa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전국의 수련 병원에서 사용하는 단음절어표 및 이음절어표의 현황:그 유래와 변형
변성완, 심유진, 배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ObjectiveSeveral monosyllabic and bisyllabic words lists were developed for speech audiometry in Korea for decades. Many irregularities were observed in previous surve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ists, especially their origins and variations.

Materials and Methods:The study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80 training hospitals in Korea. The collected words lists were sorted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y were grouped to maximize common words.

Results:Three most common lists and their original references were identified. However, many episodic variations were also observed.

Conclusion:Although the reasons of the variations were unclear, they were speculated to be errors in reading or copying the lists.

Keywords: Speech audiometry;Survey;Monosyllabic words list;Bisyllabic words list.

교신저자:변성완, 158-710 서울 양천구 목동 911-1
교신저자:전화) (02) 2650-5156, 전송) (02) 2648-5604, E-mail:byunsw@ewha.ac.kr

서     론


한국어의 어음청력검사를 위한 단음절어표 및 이음절어표는 신규식(1960),1) 함태영(1962),2) 소진명(1970),3) 이종담(1976),4) 박찬일(1981),5) 함태영(1986)6)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회 작성되어 보고되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개의 어음청력검사표가 개발되었고, 수십 년 전 문헌이 온전하게 남아 있지 않아, 현재는 많은 변형들이 이루어진 상태로 전국의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국의 수련 병원을 대상으로 단음절어표의 사용 실태에 대해서 이전의 보고가 있었지만,7) 너무 다양한 변형 때문에 어디에서 유래한 표가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규칙성을 파악하기 어려워, 이전의 보고에서는 사용되는 단음절어표를 나열하고 음소의 빈도를 비교하는 데 그쳤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수련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단음절어표와 이음절어표의 1) 현황을 조사하고, 2) 유래와 변형의 실태를 보고하여, 향후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총 86개 수련병원(2004년 현재)의 청력검사 담당자와 연락하였다. 그 결과 80개 병원에서 단음절어표를, 79개 병원에서 이음절어표를 얻을 수 있었다. Microsoft Excel을 이용하여, 표에 들어있는 단어들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하고, Excel의 비교함수 '=if( )'를 이용하여, 서로 차이가 있는 단어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최대 공통 단어와 최소 차이 단어의 조건이 되도록 단음절어표와 이음절어표를 분류하였다. 이를 문헌의 자료와 비교하여 유래를 파악하였고, 변형된 단어를 확인하였다.

결     과

단음절어표의 현황

전체 80 병원에서 사용되는 단음절어표는 6개의 표 군(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62 병원(77.5%)에서 사용하는 함태영(1962) 표 군이었고, 그 다음이 11 병원(9.25%)에서 사용하는 함태영(1986) 표 군, 5 병원(6.25%)에서 사용하는 이종담(1976) 표 군 순이었다(Table 1). 박찬일(1981) 표와 신규식(1960) 표도 각각 1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었고, 그 외의 다른 2 병원의 표는 유래를 확인할 수 없는 표였다.

이음절어표의 현황

전체 79 병원에서 사용하는 이음절어표는 함태영(1962) 표 군(63.3%), 이종담(1976) 표 군(11.4%), 함태영(1986) 표 군(8.9%)의 순이었다(Table 2). 기타 함태영(1962) 표, 이종담(1976) 표, 신규식(1960) 표를 같이 사용하는 병원과 유래를 확인할 수 없는 표를 사용하는 병원도 있었다. 표를 섞어 쓰는 병원의 경우, 각각의 표를 나누어 재집계 하여도, 함태영(1962) 표 군(66.7%), 이종담(1976) 표 군(15.8%), 함태영(1986) 표 군(8.9%)의 순이었다.

단음절어표의 변형

함태영(1962) 표는 일부 병원에서 들→돌, 잣→잠, 끌→끝, 논→눈의 변형이 있었다. 함태영(1986) 표는 일부 병원에서 법→범의 변형이 있었고, 이종담(1976) 표는 일부 병원에서 돈→돌, 귤→글, 돌→들, 용→응, 점→짐, 쪽→족, 태→대, 흑→혹의 변형이 있었다(Table 3).

이음절어표의 변형

함태영(1962) 표는 일부 병원에서 색칠→색깔, 이종담(1976) 표는 일부 병원에서 건설→그늘, 겨울→겨우, 고향→고약의 변형이 있었다. 함태영(1986) 표는 원래 30 이음절어 1표로 제시되었으나, 현재는 이를 사용하는 모든 병원에서 원래의 30 이음절어에 과자, 밥통, 비누, 수도, 아들, 하늘의 6 이음절어를 추가하여 36 이음절어 1표로 사용하고 있었다(Table 4).

고     찰

이 보고에서 파악된 현황은 원형과 다른 많은 변형 표들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시사한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A→K, B→L, C→M, D→N 같은 변형이 있을 때, 그 변형 모두가 한 병원에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어떤 병원에서는 A→K만, 어떤 병원에서는 B→L만, 어떤 병원에서는 C→M만 일어나는 것처럼 산발적인 변형의 결과, 즉 오류로 보인다는 점이다.
저자 나름대로 변형의 이유를 정리하여 보면, 모음 [ㅗ], [ㅛ], [ㅜ], [ㅠ], [ㅡ]와 받침 [ㄹ], [ㅌ] 관련 오류가 가장 많았다(돈→돌, 돌→들, 들→돌, 용→응, 귤→글, 귤→굴, 흑→혹, 끌→끝, 논→눈, 솥→솜, 솥→손). 받침 [ㅂ], [ㅁ]과 관련된 오류(겁→검, 법→범, 잣→잠, 밥→밭), 가로획의 첨삭 관련 오류(점→짐, 태→대, 떡→먹), 기타 오류(옆→열, 쪽→족, 배→재)가 있었다. 가장 많은 오류의 원인은 필사본 또는 인쇄본의 오독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팩스 전송의 잡음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도 상당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이런 오류에 의한 변형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어음청력검사용 표에 '돌(DOL)'처럼 영문을 병기하거나, '돌(ㄷㅗㄹ)'처럼 한글 풀어쓰기는 병기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겠다.
지난 보고에서 지적한 대로7) 각 수련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음표에 CID W-22, PAL PB-50 같은 식별 번호(code)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의무 기록 전달이나 집담회처럼 서로 다른 병원간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어떤 단음절어표 또는 이음절어표를 사용한 검사인지 기술할 수 있고, 어음표의 유래와 형태가 명확하여 청력검사 담당자가 바뀌어도 오류에 의한 변형 없이 일관성이 유지될 것이다.

요     약

단음절어표 및 이음절어표는 현재 함태영(1962) 표, 이종담(1976) 표, 함태영(1982) 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부 병원에서 오류로 추정되는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였다.


REFERENCES

  1. Cynn KS. On speech audiometry in Korean language.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60;3:1-5.

  2. Hahm TY. Articulation function on the Korean speech in patients with hearing impairment. Catholic Med College J 1962;5:31-8.

  3. Soh JM, Park SJ, Eun JH. Statistical review of spondee and PB word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70;13:113-6.

  4. Lee JD. The basic study of the Korean word for the material of speech hearing tes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76;19:1-25.

  5. Han TH, Park CI.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PB word list for speech audiometry.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81;24:265-78.

  6. Hahm TY. Complementary study on construction of Korean word lists for speech audiometry. Inje Med J 1986;7:1-19.

  7. Byun SW, Chung SM, Kim HS, Go YM. A survey of phonetically balanced words lists used in training hospitals in Korea.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5;48:1086-90.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235 View
  • 9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