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Role of Utriculoendolymphatic Valve in Guinea Pig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1997;1(1):103-105.
Role of Utriculoendolymphatic Valve in Guinea Pigs
Boo-Hyun Nam, Young-Bok Song, Dong-Woo Im, Chan-Il Par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University, Cheonan, Korea
기니픽 난형낭내림프판막의 역할
남부현, 송영복, 임동우, 박찬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unction of utriculoendolymphatic valve which has been suggested having a protective role in membranous labyrinthine injury for preservation of hearing. The lateral semicircular canal of three guinea pigs was transected with a surgical drill, through its opening the inner ear fluid was aspirated and then the canal lumen was occluded. Postoperative hearing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Histologic specimen of the experimental animals revealed generalized collapse of the vestibular endolymphatic system, but the cochlea appeared norm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triculoendolymphatic valve is not a functioning valve but only a valve-shaped structure. 

Keywords: Utriculoendolymphatic valve;Preservation of hearing;Lateral semicircular canal.
서론 내이의 막미로를 침범하는 진주종과 측두골수술중에 발생하는 막미로의 손상후에 청력이 보존되는 많은 증거들이 보고되어왔다.1)10) 최근에는 발작성체위변환성현훈환자의 수술적치료에 후반규관의 폐쇄,11)14) 뇌기저부수술에 반규관절제,15)17) 또는 진주종에 의한 깊은 미로누공의 처리에 반규관차단18)이 청력의 소실없이 시도되고 있다. 막미로의 손상후에 청력이 보존되는 기전을 설명하기위하여 여러 가설들4)7)10)19-21)이 제시된바 있는데, 상부미로와 하부미로의 경계부위에 위치하는 난형낭내림프판막의 역할이 그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막미로의 손상에 동반하는 급격한 내이액의 누출시 난형낭내림프판막이 청력의 보존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실험동물로는 정상 청성뇌간유발반응을 보이는 250∼300 gm의 건강한 기니픽 3마리를 사용하였다. 수술방법은 우측이개의 후방에 피부절개를 가하고 측두골 외측의 피질부를 노출시킨뒤 상안와연과 외이도를 연결하는 가상연장선에서 수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골포를 개방하였다. 골부건륜과 안면신경관을 확인하고 안면신경의 외슬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직상방에 위치하는 외반규관의 골융기부를 수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절단된 외반규관의 양측 개구부에서 내이액의 누출을 확인한 뒤 내이의 감압을 유도하고자 양측 개구부로 부터 각각 2∼3회씩 내이액을 흡인한 후 반규관의 개구부는 수술용드릴을 이용하여 폐쇄하였다.22) 청력역치의 측정은 수술전후에 청성뇌간유발반응을 통하여 5 dB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형태학적 관찰은 청력검사후 Heidenhain susa액으로 관류고정한뒤, 측두골을 채취하여 10% formalin액에 침수고정, 5% trichloroacetic acid액에 탈회, 다단계 농도의 alcohol액에 탈수과정을 거쳐 셀로이딘에 포매하였다. 절단평면은 구형낭반과 난형낭반이 같은 평면에 위치하도록 수평절단하였고, 각 절편의 두께는 20 μm로 하였다. 각 10번 째의 절편을 hematoxylin and eosin(이하 H & E) 염색 후 광학현미경하에 관찰하였다. 결과 청력의 변화 수술 후 실험동물의 청각역치는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상 수술 전과 비교하여 10 dB이내의 상승을 보였다. 형태학적 변화 측두골표본의 광학현미경적 소견으로 와우에서는 뚜렷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반규관과 후반규관을 제외한 전반적인 전정내림프계는 외림프강 결체조직망의 파괴와 함께 허탈되었다(Fig. 1). 난형낭내림프판막(Fig. 2)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하부미로에 속하는 구형낭의 허탈을 막아주지 못하였다. 고찰 난형낭내림프판막은 1928년 Bast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는데, 난형낭내림프판막이란 내림프관으로 도수되는 난형낭관이 난형낭으로부터 개구부하는 부위로 난형낭막이 내함되어 형성된 주름모양의 구조물이다.23) Schuknecht와 Belal19)은 난형낭내림프판막이 하부미로(와우와 구형낭)와 관련되어 발생하는데, 하부미로를 파열 또는 허탈시키는 어떤 병변이나 외상으로부터 상부미로(반규관과 난형낭)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Bumsted 등20)은 막미로를 침범한 진주종환자에서 청력이 보존될 수 있는 기전으로, 상부미로의 병변이 서서히 진행한다면 난형낭내림프판막이 차단되어 하부미로를 상부미로의 병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Jahrsdoerfer 등4)은 중이수술 중 막미로를 손상받은 환자에서 청력이 보존될 수 있는 기전으로 Schuknecht와 Belal이 제시하였던 난형낭내림프판막의 작용기전을 반대로 적용하였는데, 순간적인 전정내림프계의 감압은 난형낭의 외순부를 보다 견고한 낭형낭내림프판막의 내순부쪽으로 허탈시켜 구형낭과 와우의 내림프액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실험은 절단된 외반규관을 통하여 상부미로에 급격한 감압을 유발하였을 때 Schuknecht와 Belal과 Jahrsdoerfer 등이 제시하였던 난형낭내림프판막이 하부미로의 허탈을 막아줄 것인가에 대한 검증이다. 그러나 실험의 결과 전반적인 전정내림프계가 허탈되어 난형낭내림프판막이 이들이 제시하였던 판막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수술 중 반규관의 손상 후 청력이 보존될 수 있는 기전으로 손상된 반규관내에서 일어나는 국소적 변화가 술후의 청력보존에 중요하다는 가설들이 제기되었다. Canalis 등7)은 손상된 반규관내림프관은 급격한 내림프액의 유출과 지지기반의 상실로 허탈되고 그 끝이 차단되는 것으로 생각하였고, Tatagiba 등10)은 드릴사용중에 발생하는 골편에 의해 손상된 반규관이 막히게되어 내림프의 누출을 막아줄 것으로 생각하였다. 최근 저자들은 내이막미로의 손상에 뒤따르는 청력의 상실이 기존에 제시되었던 수상당시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손상7)16)에 의하지 않고 수술 후 지속되는 내림프계와 외림프계사이의 누공에 기인하므로 손상된 반규관을 폐쇄하여 미로내누공을 막아주는 것이 술후의 청력보존에 중요할 것임을 제시한 바 있다.21) 요약하여보면 난형낭내림프판막은 형태학적으로는 판막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판막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단지 발생학적인 잔재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Cawthorne T. The effect on hearing in man of removal of the membranous lateral semicircular canal. Acta Otolaryngol 1948;78(suppl):145-9. 2) Jongkees LBW. On the function of the labyrinth after destruction of the horizontal canal. Acta Otolaryngol 1950;38:505-10. 3) Sade-Sadowsky N. The damage to the membranous laryrinth during fenestration and its influence upon hearing. J Laryngol Otol 1955;69:753-6. 4) Jahrsdoerfer RA, Johns ME, Cantrell RW. Labyrinthine trauma during ear surgery. Laryngoscope 1978;88:1589-95. 5) Hakuba A, Nishimura S, Inoue Y. Transpetrosal-transtentorial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in the therapy of retrochiasmic craniopharyngiomas. Surg Neurol 1985;24:405-15. 6) Cullen JR, Kerr AG. Iatrogenic fenestration of a semicircular canal: A method of closure. Laryngoscope 1986;96:1168-9. 7) Canalis RF, Gussen R, Abemayor E, Andrews J. Surgical trauma to the lateral semicircular canal with preservation of hearing. Laryngoscope 1987;97:575-81. 8) Hakuba A, Nishimura S, Jang BJ. A combined retroauricular and preauricular transpetrosal transtentorial approach to clivus meningiomas. Surg Neurol 1988;30:108-16. 9) Palva T, Ramsay H. Treatment of labyrinthine fistul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9;115:804-6. 10) Tatagiba M, Sami M, Matthies C, Azm ME, Schonmayr R. The significance for postoperative hearing of preserving the labyrinth in acoustic neuroma surgery. J Neurosurg 1992;77:677-84. 11) Parnes LS, McClure JA.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occlusion for intractabl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nn Otol Rhinol Laryngol 1990;99:330-4. 12) Parnes LS, McClure JA.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occlusion in the normal hearing ear.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04:52-7. 13) Anthony PF. Partitioning of the labyrinth: Application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m J Otol 1991;12:388-93. 14) Kartush JM, Sargent EW.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occlusion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CO2 laser-assisted technique: Preliminary results. Laryngoscope 1995;105:268-74. 15) McElveen JT, Wilkins RH, Eewin AC, Wolford RD. Modifying the translabyrinthine approach to preserve hearing during acoustic tumor surgery. J Laryngol Otol 1991;105:34-7. 16) Molony TB, Kwartler JA, House WF, Hitselberger WE. Extended middle fossa and retrolabyrinthine approaches in acoustic neuroma surgery: Case reports. Am J Otol 1992;13:360-3. 17) Hirsch BE, Cass SP, Sekhar LN, Wright DC. Translabyrinthine approach to skull base tumors with hearing preservation. Am J Otol 1993;14:533-43. 18) Kobayashi T, Sato T, Toshima M, Ishidoya M, Suetake M, Takasaka T. Treatment of labyrinthine fistula with interruption of the semicircular canal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469-75. 19) Schuknecht HF, Belal A. The utriculo-endolymphatic valve: Its functional significance. J Laryngol Otol 1975;89:985-96. 20) Bumsted RM, Sade J, Dolan KD, McCabe BF. Preservation of cochlear function after extensive labyrinthine destruction. Ann Otol Rhinol Laryngol 1977;86:131-7. 21) Nam BH, Yoon SK, Park CI. Transection and occlusion of lateral semicircular canal in guinea pigs. Ann Otol Rhinol Laryngol 1997(in press). 22) Money KE, Scott JW. Functions of seperate sensory receptors of nonauditory labyrinth of the cat. Am J Physiol 1962;202:1211-20. 23) Schuknecht HF. Pathology of the ear, 2nd Ed. Philadelphia, Lea & Febiger. 1993, pp105-7.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231 View
  • 1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