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Myringosclerosis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3;7(1):38-41.
Myringosclerosis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Hyun-Jeong Hong, Seung-Hwan Kim, Jong-Sun Lee, Hyung-Jong K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중이환기관 삽입술 후 발생하는 고막경화증의 양상
홍현정, 김승환, 이종선, 김형종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etiology of myringosclerosis following ventilation tube insertion remains controversial,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rocedure and the development of myringosclerosi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the extent of myringosclerosis by an objective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etiologic factors including age, sex of subjects, duration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etc, with regard to the extent of myringosclerosis.

Materials and Method:Total of 35 subjects (55 ears) who had myringosclerosis during follow up period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were included. All of them had undertaken the procedures of ventilaton tube insertion from 1999 to 2002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in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Mean age was 8 years old with the range of 1 to 16 years, and mean follow up period was 16 months the with range 3 to 48 months. To measure the area of myringosclerosis, video-otoscopic imaging and JASC Paint shop pro (vers. 7.02) were used. Medical and operation records were reviewed with regards to the location of myringosclerosis, age, sex of the subjects, fluid contents, duration after the procedure, and number of the revisions. Pearson correlation, and Pearson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5).

Results:Any correlation o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tent of myringosclerosis and the factors tested did not be found. The most common site of myringosclerosis was antero-inferior quadrant of the tympanic membrane.

Conclusion:The extent of myringosclerosis did not reveal any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with etiologic factors tested in this study. It suggested that pathogenesis of myringoosclerosis following ventilation tube insertion might be multifactorial.

Keywords: Myringosclerosis;Ventilation tube insertion.

교신저자:김형종, 431-070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896
            전화) (031) 380-3840, 전송) (031) 386-3860, E-mail:hjk1000@hallym.or.kr

서     론


중이환기관 삽입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지속적 이루, 영구적 고막 천공, 고막의 위축, 고막의 유착이나 함입낭(retraction pocket) 그리고 고막경화증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병변의 정확한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고막경화증은 외래에서 흔하게 접하는 병변으로 중이환기관 삽입술 후 약 11
~50% 정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2)3) 고막경화증이 경미한 경우 청력에 0.5 dB 미만으로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미용적 문제로 알려져 있으나 병변의 크기가 증가하여 중이 점막을 침범하거나 이소골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전음성 난청을 초래하게 된다. 그 원인으로 고막 상피내 출혈, 환기관에 대한 이물 반응, 고실내 저류액 흡인에 의한 외상, 중이내 감염 등 많은 가설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고막경화증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발생 빈도 및 고막경화증의 병인에 관계된 매개체들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1)2)4)5) 고막경화증의 크기를 정량화하여 분석한 연구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막경화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이에 관계된 인자를 분석함으로써 고막경화증의 병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중이환기관 삽입술을 시행받고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중 고막경화증이 발생한 35예(55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이환기관 삽입 전 고막경화증이 있었던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령분포는 1세에서 16세까지로 평균연령은 8세였으며 남녀비는 2.18:1로 남자가 많았다. 수술 후 추적기간은 3
~48개월로 평균 추적기간은 16개월이었다.

방  법

대상 환자 모두 의무기록지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연령, 성별, 수술 후 추적기간, 고막소견, 수술 시의 삼출액의 성상, 환기관 삽입술 시행 빈도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정도와 환기관 삽입 위치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발생위치를 분석하였다. 고막경화증의 정도는 이내시경을 이용하여 고막을 쵤영한 후 JASC Paint shop pro(version 7.0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막경화증의 면적을 측정한 다음 전체 고막 크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다(Fig. 1). 고막경화증의 정도는 고막전체의 30% 이하, 31
~50% 및 51%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각각 경도, 중등도 및 고도의 3군으로서 분류하였다.
환자의 연령과 수술 후 추적 기간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정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였고 성별, 삼출액의 성상, 환기관 삽입술 시행빈도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정도는 Pearson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p<0.05).

결     과

환자의 연령 및 추적기간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크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환자의 성별, 삼출액의 성상 및 수술 횟수에 따른 고막경화증의 크기의 분석에서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1).
고막을 상하전후로 4등분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환기관은 삽입의 위치는 전례에서 고막의 전하방에 삽입하였다. 고막경화증의 발생위치는 전하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후하방과 후상방에서 비슷한 빈도로 전상방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전하방 부위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전체 대상의 67.6%에서 환기관 삽입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발생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고     찰

고막경화증은 고막 점막의 고유층에 교원질이 국소 침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정상고막의 약 3%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정상 고막에서의 발생기전은 알 수 없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환기관 삽입 후 기간 경과에 따라 고막경화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막 국소 자극이 중요한 병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Maw 등6)에 의하면 고막경화증의 발생은 환기관 삽입 후 처음 1년 내에 가장 증가하며 그 후 3
~5년 내에 비교적 안정화 된다고 하였으며 Friedman 등1)은 반복적인 수술이 고막경화증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반복 삽입한 경우 고막경화증이 증가하는 이유로는 삽입시의 물리적 압력에 의한 고막 조직의 파열, 삽입된 환기관에 의한 고유층의 자극, 환기관에 대한 고막 조직의 이물반응, 환기관 삽입에 의한 고막 치유과정의 지연, 중이내의 혈액성분 침착 등 많은 보고들이 있으나 그 병인에 대하여는 정확한 생성기전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그 외에 문헌 고찰상 고막경화증의 정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자로는 연령의 증가, 환기관의 크기, 반복적인 수술 등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연령, 삼출액의 종류, 반복적인 수술 여부 등이 고막경화증의 정도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구에서와는 달리 대부분의 환자들이 30%미만인 경도의 고막경화증을 가진 군에 속했기 때문이며 그런 분포를 갖는 원인으로는 숙련된 1명의 의사에 의해 시행된 수술이었기 때문에 수술 당시 불필요한 고막에 대한 외상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인자 중 고막에 대한 국소 자극, 출혈 등이 적어 고막경화증의 정도도 타 연구대상에 비해 경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Pichichero 등14)도 삼출액의 종류에서 중이액이 점성에 가까울수록 고막 혈관이 발달하여 환기관 십입술 시 출혈양이 많아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고 수술 당시의 고막의 외상이나 출혈이 다른 임상적인 인자에 비해 고막경화증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되지만 아직까지는 수술 당시의 외상이나 출혈을 정량화할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흥미롭게도 고막경화의 위치는 다른 연구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환기관 삽입위치와는 무관하였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환기관 삽입부의 고막에는 고막경화증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주변부에만 발생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Jaisinghani 등7)은 전하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가장 많은 면적이 침범당하는 것은 후하방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 원인에 대하여 Slack 등13)은 고막 절개와 환기관의 질량효과에 의해 고막 미세 구조에 양향을 줌으로써 고막 혈류 방향을 변화시키고 고막 점막 고유층에 교원질을 침착시켜 고실 경화증을 유도한다고 설명하였다.
이번 연구는 고막경화증의 병리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본 연구결과가 타 연구보고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추후 좀더 추적기간이 긴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인에 대한 연속적인 고막 경화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추가적 연구를 통해 명확하게 증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고막경화증의 정도와 환자의 연령, 성별, 삼출액의 종류, 재수술 여부와는 통계적 연관성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고막경화의 발생위치 또한 환기관 삽입 위치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막 경화증의 병인이 여러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REFERENCES

  1. Freidman EM, Sprcher RC, Simon S, Dunn JK. Quantitation and prevalence of tympanosclerosis in a pediatric otolaryngology clinic. Int J Pediatr Otolaryngol 2001;60(3):205-11.

  2. Kay DJ, Nelson M, Rosenfeld RM. Meta-analysis of tympanostomy tube sequelae. 2001;124(4):374-80.

  3. Koc A, Uneri C. Sex distribution in children with tympanosclerosis after insertion of a tympanostomy tube. Eur Arch Otolaryngol 2001;258(1):16-9.

  4. Forseni M, Bagger-Sjoback D, Hultcrantz M. A study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the human tympanosclerotic middle ea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7(5):559-64.

  5. Wielinga EW, Peters TA, Toonaer EL, Kuijpers W, Curfs JH. Middle ear effusions and structure of the tympanic membrane. Laryngoscope 2001;111(1):90-5.

  6. Maw AR. Development of tympanosclerosis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and ventilation tubes. J Laryngol Otol 1991;105(8):614-7.

  7. Jaisinghani VJ, Hunter LL, Li Y, Margolis RH. Quantative analysis of tympanic membrane disease using videootoscopy. Laryngoscope 2000;110:1726-30.

  8. Albu S, Babighian G, Trabalzini F. Surgical treatment of tympanosclerosis. Am J Otol 2000;21(5):631-5.

  9. Goldstein NA, Roland JT, Sculerati N. Complications of tympanostomy tubes in an inner city clinic population. Int J Pedistr Otorhinolaryngol 1996;34(1-2):87-99.

  10. Riley DN, Herberger S, McBride G, Law K. Myringotomy and ventilation tube insertion: a ten-year follow up. J Laryngol Otol 1997;111(3):257-61.

  11. Dawes PJ, Bingham BJ, Rhys R, Griffiths MV. Aspirating middle ear effusions when inserting ventilation tubes: does it influence post-operative otorrhea, tube obstruction or the development of tympanosclerosis. Clin Otolaryngol 1991;16(5):457-61.

  12. Asiiri S, Hasham A, Anazy, FA, Zakzouk S, Banjar A. Tympanosclerosis: review of literature and incidence among patients with middle-ear infection. J Laryngol Oto 1999;113:1076-80.

  13. Slack RWT, Mwa AR, Capper JWR, Kelly S. Prospective study of tympanosclerosis developing after grommet insertion.J Laryngol Otol 1984;771-4.

  14. Pichichero ME, Bergash LR, Hengerer AS. Anatomic and audiologic sequelae after tympanostomy tube insertion or prolonged antibiotic therapy for otitis media. Pediatr infect Dis J 1989;8:780-7.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