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Comparative Study of Hearing Capacity on Lesion Site and Opposite Site in Acute Vestibular Neuriti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8;12(1):40-42.
Comparative Study of Hearing Capacity on Lesion Site and Opposite Site in Acute Vestibular Neuritis
Hoon Young Woo, Jung Hyeob Sohn, Hei Ju Kim, Jin Young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급성 전정신경염 환자에서 환측과 건측의 청력 검사 비교 평가
우훈영, 손정협, 김희주, 김진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re's a debate over hearing loss of acute vestibular neurit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auditory threshold of vestibular neuritis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We studied twenty patients who showed dizziness and spontaneous nystagmus, and who proved as a acute vestibular neuritis by rotatory chair and Calori test. Hearing tests including pure tone audiometer, high frequency audiometer an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udiometry were performed. Diseased sides were compared with normal side on these patients.


Results
Ipsilater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at pure tone frequency range was found in 2 cases (10%). And ipsilater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at ultra high frequency range was found in 5 cases (25%). Acute vestibular neuritis patients showed higher level of auditory threshold on lesion side than that of opposite side [0.5-2 KHz (55%), 4-8 KHz (60%), 10-12 KHz (52.6%), 13-15 KHz (57.9%)]. Delay of wave V latency 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udiometry on lesion side compared to normal side was found in 10 cases (50%).


Conclusions
Acute vestibular neuritis is polyneuropathy, affect not only vestibular nerve, but also cochlear nerve system.
 

Keywords: Acute vestibular neuritis· Hearing test.

Address for correspondence : Hoon Young Woo,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761-1 Sanggye 7-dong, Nowon-gu, Seoul 139-707, Korea
Tel : +82-2-950-1104, Fax : +82-2-935-6220, E-mail : gruntdoc@hanmail.net

서     론


급성 전정신경염은 어지럼을 주소로 이비인후과 외래나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들에서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1) Coates가 정의한 진단 기준2)에 의하면 난청이 동반되지 않은 급성 편측성 말초 전정계의 질환으로 중년에서 흔하며, 지속되는 현기증이 한 차례 있는 것으로 온도 안진 검사에서 병변 쪽의 반규관 마비가 있고 6개월 이내에 증상의 완전 소실을 보이는 질환이다. 
그러나 Coates의 정의와 달리 여러 연구에서 급성 전정신경염이 청력 소실을 동반하는 경우를 보고하고 있다.3,4,5) 따라서 저자들은 전정신경염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환측과 건측의 청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10 KHz 이상의 초고주파 영역의 청력을 확인하여 환측의 청력 소실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급성 전정신경염에서 청력의 소실 정도를 가장 민감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어지럼증을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전정 기능 검사와 Calori 검사상 급성 전정신경염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청력 역치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귀 질환이나 특별한 소음 노출의 과거력이 없고 양측 고막 소견이 정상이며 Impedance 청력검사상 tympanogram type A를 보이는 경우로 제한하였다.
청력 역치는 병변 방향과 정상측 모두에서 순음 청력과 초고주파 청력을 확인하였다. 방음 처리된 two room booths에서 순음청력계기(Madsen Orbiter 922-2, Denmark)와 초고주파 청력 검사기(Beltone 2000C, U.S.A)를 이용하여 순음과 초고주파 음역의 청력 역치를 측정하였다. 
순음은 0.5 KHz와 1 KHz, 2 KHz, 4 KHz, 8 KHz에서 검사를 시행하였고 초고주파 음역은 10 KHz에서부터 1 KHz 간격으로 검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0.5, 1, 2 KHz와 4, 8 KHz, 그리고 10, 11, 12 KHz와 13, 14, 15 KHz로 주파수별 음역을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측정된 양측의 청력 역치에서 그 평균값을 구하여 양측 귀를 비교하였다. 초고주파 청력 역치는 연령별로 다르므로 급성 전정신경염이 아닌 정상 귀의 초고주파 청력은 기존의 연령별 정상 초고주파 청력 역치(Table 1)6)를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청성 뇌간 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V파의 잠복기를 함께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은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 20명이 기준에 부합하였고, 남자 7명과 여자 1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44세(12
~61세)였다. 병변의 방향은 좌측과 우측이 각각 11명, 9명이었다.
0.5, 1, 2 KHz 구간에서 환측이 난청을 보이는 경우는 2예, 양측 모두에서 난청을 보이는 경우는 1예였으며, 4, 8 KHz 구간에서는 환측이 난청을 보이는 경우가 2예, 양측 모두에서 난청을 보이는 경우가 4예였다. 초고주파 영역의 경우 10, 11, 12 KHz 구간에서는 3예에서 환측이 난청을 보였고, 10예에서 양측 난청이었으며, 13, 14, 15 KHz 구간에서는 2예에서 환측의 난청, 13예에서 양측의 난청 소견이었다(Table 2). 
각 주파수 구간별로 정상측에 비해 환측의 청력 역치가 떨어진 정도를 확인했을 때, 0.5, 1, 2 KHz 구간에서는 3.5±11.95 dB, 4, 8 KHz 구간에서는 3.4±9.67 dB로 평균적으로 환측의 청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고주파 영역에서도 10, 11, 12 KHz 구간에서 4.9±11.70 dB, 13, 14, 15 KHz 구간에서는 7.1±7.56 dB로 환측의 청력이 정상측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통계적 검정에서는 10, 11, 12 KHz 영역에서만 95% 신뢰도에서 통계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20명의 개인별 청력 역치를 확인했을 때 주파수 구간별로 환측이 정상측에 비해 청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0.5, 1, 2 KHz 구간, 4, 8 KHz 구간, 10, 11, 12 KHz 구간, 13, 14, 15 KHz 구간에서 각각 11명(55%), 12명(60%), 10명(52.6%), 11명(57.9%)로 나타나, 급성 전정신경염의 50
~60%에서는 환측의 청력이 정상측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는 환측에서 측정한 V파의 잠복기와 정상측에서 측정한 V파의 잠복기를 산술적으로 뺀 값을 확인하였다. 환측이 정상측에 비해 V파의 잠복기가 연장되는 정도는 0.07±0.11초였다. 환측에서 V파의 잠복기가 정상측보다 연장되는 경우는 총 10명(50%)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그러나 통계적 검정에서는 V파의 잠복기 연장이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급성 전정신경염은 1909년 Ruttin이 청각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급성 일측성 전정 장애를 처음으로 보고한7) 이후로 Nylen,8) Dix와 Hallpike 등9)에 의해 개념이 정립되었다. 뇌신경 증상이나 중추신경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정의 내려지며, 일부에서 발작 초기에 이명이나 이폐색감을 호소하는 것 외에는 와우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7,10)
그러나 이후 여러 연구에서 Coates가 급성 전정신경염은 청력 저하를 동반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1979년에는 Aantaa과 Virolainene 등이 급성 전정신경염으로 진단된 후 3년까지 경도의 청력 소실을 보인 증례를 보고하였으며,3) 1986년에는 Rahko가 급성 전정신경염 환자의 80.9%가 15 KHz 이상의 고음역에서 감각신경성 청력 소실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4) 국내에서도 Chung 등5)이 연구 대상이었던 급성 전정신경염 환자의 24%가 8 KHz에서 감각신경성 청력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급성 전정신경염에서 청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4, 8 KHz뿐 아니라 15 KHz의 초고주파 영역까지 확대하여 청력 역치를 확인하였으며 대상 환자의 다수에서 환측의 청력이 반대측에 비해 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급성 전정신경염이 단순히 전정 신경의 병변이 아니라 중추성 전정계 질환 또는 전정 와우 신경의 뇌간 기시부(root entry)의 병변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저자들은 청성 뇌간 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V파의 잠복기를 함께 측정하였으며, 통계상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50%에서 V파의 잠복기가 반대측에 비해 연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1983년 Anttinen 등이 급성 전정신경염 환자의 뇌간 전위 유발의 latency의 연장이 많은 수에서 병변 반대쪽에도 발현됨을 보고하면서 급성 전정신경염의 한 원인으로 뇌간 뇌염(brain stem encephalitis)을 제안하였던 것11)과도 연관지을 수 있는 결과로 생각된다.

결     론

Coates의 급성 전정 신경염의 진단 기준과 달리 급성 전정 신경염 환자에서 시행한 초고주파 영역의 청력 검사와 청성 뇌간 유발 검사에서 이환된 쪽의 귀가 반대쪽에 비해 청력의 저하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초고주파 영역의 경우 환측의 청력 역치의 상승이 통계적 의미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전정 신경염이 단순히 vestibular nerve를 침범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측의 cochlear nerve에도 영향을 미치는 polyneuropathy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REFERENCES

  1. Bohmer A. Acute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opathy. In: Baloh RW, Halmagyi GM, editors. Disorders of the vestibular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96. p.318-27.

  2. Coates AC. Vestibular neuroniti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9;73:395-408.

  3. Aantaa E, Virolainene E. Vestibular Neuronitis; a follow-up study. Acta Otorhinolaryngol Belg 1979;33:401-4.

  4. Rahko T, Karma P. New clinical finding in vestibular neuritis: High-frequency audiometry hearing loss in the affected ear. Laryngoscope 1986;96:198-9.

  5. Chung WK, Lee WS, Lee SS, Lee SM, Lee EH. Clinical aspect of acute vestibular neuriti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9;42:17-21.

  6. Woo HY, Jung CH, Kim KM, Yang KJ, Rho YS, Kim YK. Age-related normal ultra high frequency threshold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3;36:519-26.

  7. Ahn BH, Kim JH, Kim JG. Clinical analysis of vestibular neuriti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2;35:50-5.

  8. Nylen C. Some cases of ocular nystagmus due to certain positions of the head. Acta Otolaryngol (Stockh) 1924;6:106-23.

  9. Dix MR, Hallpike CS. The pathology, symptomatology and diagnosis of certain common disorders of the vestibular system. Ann Otol Rhinol Laryngol 1952;61:987-1016.

  10. Choue SC, Cha CI, Lee JM, Ahn HY. A clinical study of vestibular neuriti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89;32:264-72.

  11. Anttinen A, Lang AH, Aantaa E, Marttila R. Vestibular neuronitis: A neurological and neurophysiological evaluation. Acta Neurol Scand 1983;67:90-6.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365 View
  • 7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